전체 틀니 가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아를 상실하였을 때 치료하는 방법에는 틀니와 임플란트 치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틀니는 비용적인 면에서 임플란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평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체 틀니 가격부터 나이, 수급자에 따라 달라지는 가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 틀니가 건강보험이 적용되어진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단, 모든 틀니가 적용되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틀니가 건강보험에 적용이 되는지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체 틀니 가격 저렴하게 제작하는 방법
틀니 제작에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이 되어 틀니 제작을 미루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럼 분들을 위해 전체 틀니 가격 저렴하게 제작하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틀니 제작에 있어 지난 2012년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은 50%로 틀니를 맞추려는 분들에게 크게 와닿는 금액은 아니였습니다. 하지만 2017년 건강보험 대상자를 만 70세 이상 어르신에서 만 65세 이상 어르신으로 낮추고 본인부담금을 30%로 낮추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틀니 제작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여주었습니다.
단, 모든 분들이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혜택에 해당이 되는지 아래 정리해 놓았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 적용 대상
만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자 1종, 2종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또는 의료급여수급자 1종, 2종이라면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저렴하게 틀니를 제작하실 수 있습니다.
또 틀니 관련하여 7년마다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유지와 보수 관련해서 치료 받는 것도 보험이 적용되니 치료를 받을 때 적용이 가능한 보험 항목들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적용 률
건강보험 혜택은 대상에 따라 적용되는 본인부담금이 달라집니다.
만 65세 이상 : 본인부담금 30%
의료급여 수급자 1종 : 본인부담금 5%
의료급여 수급자 2종 : 본인부담금 15%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이 틀니를 제작한다면 본인부담금 30%만 지불하면 가능하며, 의료급여 수급자 1종은 본인부담금 5%, 2종은 15%의 본인부담금만 지불하면 틀니 제작이 가능합니다.
다음 표는 평균금액(약 720,000원)으로 계산하였을 때 각 대상자에 따른 지불해야 되는 금액입니다.
대상자 구분
금 액
만 65세 이상
약 216,000원
의료급여 수급자 1종
약 36,000원
의료급여 수급자 2종
약 108,000원
건강보험 미적용 전체 틀니 가격
그렇다면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40대, 50대 틀니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건강보험 미적용 대상 및 틀니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 미적용 대상 및 틀니
만 65세가 되지 않은 자
의료급여 수급자가 아닌 자
임플란트 틀니
만 65세가 되지 않았거나 수급자가 아닌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틀니 중에서 임플란트 틀니도 건강보험 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틀니 제작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0대, 50대 틀니 가격에 대하여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관련 글 첨부해 놓았으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